맛집 . 건강 이야기

트랜스 지방

임기종 2025. 6. 8. 01:12
728x90

트랜스 지방은 무엇이며 왜 위험한가

 

동맥 내 혈전생성 주원인이 되는 트랜스 지방은 식물성기름을 수소처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 진다.

이 지방은 마가린이나 쇼트닝 말고도 프랜치, 프라이드 치킨, 도너츠, 크랙커 같은 많은 식품에서도 발견된다. 프렌치 프라이에는 약 40%, 기타 인기 있는 많은 식품과 과자류에는 30-50%, 도너츠에는 약 35-40%의 트랜스 지방이 들어 있다.

트랜스 지방은 혈중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키고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동맥 내 혈전을 만들고 2 타입 당뇨와 기타 중대한 건강상 문제를 일으키며 심장병위험을 증가시키는 중대한 원인이 된다.

많은 식품회사들은 비용절감과 제품의 보관기간 연장, 맛과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 기름대신 트랜스 지방을 사용한다. 트랜스 지방 문제는 식품회사들이 소비자가 트랜스 지방이 제품에 얼마나 많이 들어있는지 파악하지 못하도록 영양 성분표를 작성하지 않고 권장 일일 섭취 상한선도 없다는 것이다. (2025 현재는 트랜스지방 함량여부를 표시하고 있다)

미국식품의약국(FDA) 다만 가능한 한 적게 먹어라라는 말 뿐이다. 올바른 방향은 식품의약국이 제조업체에서 트랜스 지방성분표를 붙이도록 강제하는 것이다. 나쁜 소식은 이런 정책적 방향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빵이나 기름에 튀긴 식품이 트랜스 지방섭취의 주범이지만 시리얼이나 와플같은 다른 식품도 역시 트랜스 지방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식품에 포함된 트랜스 지방함량은 포장지 라벨에 표시된 원료목록에서 쇼트닝, 수소처리 혹은 일부 수소처리기름이란 단어를 확인하면 알 수 있다. 실제로는 라벨에 표시된 량보다 더 많이 들어 있다. 소비자는 원재료의 표를 보고 식품 속에 들어있는 포화, 단일포화, 불포화지방의 량을 확인해 총 지방량과 해당 지방의 함유량을 비교해 볼 수 있다.

 

 

- FDA, 트랜스 지방 경고 (문답식 풀이)

 

1. 트랜스지방이란 무엇인가 : 트랜스 지방은 식물성 쇼트닝, 마가린, 크랙커, 과자류, 구운 식품, 스넥식품, 튀긴식품, 셀러드 드레싱 등에서 발견된다.

2. 왜 트랜스 지방에 대해 주의해야 하는가 : 트랜스 지방이 나쁜 콜레스테롤수치를 높이는데 직접 관련이 있고 심장질환을 일으킨다는 것이 입증됐다.

3. 지방이라면 다 나쁜가 : 아니다. 지방에는 좋은 지방과 나쁜 지방이 있다. 폴리불포화지방과 올리브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같은 단일포화지방은 좋은 기름이다.

4. 트랜스 지방이 많다면 그 양은 얼마를 말하는가: 연구 중이다. 그렇지만 포화지방, 트랜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적은 식품을 먹는 것이 좋다는 것은 확실하다. 우리가 먹는 음식 속에 트랜스 지방을 넣는 것은 건강한 식사에 절대 불필요하다.

5. 트랜스 지방이 섞여 있는지 소비자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소비자는 식품라벨에 표시된 원료 함량 표를 보고 지방함량을 알 수 있다. 라벨에 쇼트닝이나 수소처리 식물성기름이라는 단어가 나오면 트랜스 지방이 들어있는 것이다.

6. 식당에서 먹는 음식에도 지방 함량표가 있는가 : 없다. 그래서 음식을 주문할 때는 무슨 지방을 사용하는지 묻는 것이 좋다.

7. 왜 라벨을 읽는 것이 중요한가 : 라벨에는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가 있다. 소비자들이 이들 정보로 더 건강하고 양호한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