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滴穿石(수적천석)
水:물 수. 滴:물방울 적. 穿:뚫을(통할) 천. 石:돌 석.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
곧 ① 물방울이라도 끊임없이 떨어지면 종내엔 돌에 구멍을 뚫듯이, 작은 노력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의 비유.
②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쌓이면 큰 것이 됨의 비유. 큰 힘을 발휘함의 비유.
같은 말은 點滴穿石(점적천석)이고 비슷한 말은 愚公移山(우공이산), 積土成山(적토성산), 積水成淵(적수성연), 山溜穿石(산류천석)이다.
鶴林玉露(학림옥로)에 나오는말이다.
北宋(북송:960~1127)때 崇陽縣令(숭양 현령)에 張乖崖(장괴애)라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그는 관아를 돌아보다가 창고에서 황급히 튀어나오는 한 구실 아치를 발견했다. 당장 잡아서 조사해 보니 상투 속에서 한 푼 짜리 엽전 한 닢이 나왔다. 엄히 추궁하자 창고에서 훔친 것이라고 한다. 즉시 刑吏(형리)에게 명하여 곤장을 치라고 했다. 그러자 그 구실 아치는 장괴애를 노려보며 이렇게 말했다.
“이건 너무 하지 않습니까? 사또, 그까짓 엽전 한 푼 훔친 게 뭐 그리 큰 죄라고.”
이 말을 듣자 장괴애는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었다.
“네 이놈! 티끌 모아 태산이란 말도 못 들었느냐? 하루 한 푼이라도 천 날이면 천 푼이요, ‘물방울도 끊임없이 떨어지면 돌에 구멍을 뚫는다’고 했다.”
장괴애는 말을 마치자마자 층계 아래 있는 죄인 곁으로 다가가 칼을 빼어 목을 치고 말았다. 이 같은 일은 당시 상관을 무시하는 구실 아치의 잘못된 풍조를 고치려는 행위였다고 ?옥림학로?에서 전하고 있다.
‘수적천석’은 우리 나라의 속담(俗談) ‘낙숫물이 댓돌(臺石)을 뚫는다’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이는 고사 성어임.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 고사성어 - 수주대토 (0) | 2015.05.19 |
---|---|
철학우화 231 (0) | 2015.05.19 |
철학우화 230 (0) | 2015.05.18 |
이야기 고사성어 - 수어지교 (0) | 2015.05.15 |
철학우화 229 (0) | 201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