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

세계명시와 시조 1수

임기종 2018. 1. 12. 07:40
728x90




셰익스피어 - 살아야 할 것인가, 아니면

 

살아야 할 것인가 아니면 죽을 것인가, 이것이 문제로다.

잔인한 운명의 돌팔매와 화살을

마음 속으로 참는 것이 더 고상한가.

아니면 고난의 물결에 맞서 무기를 들고 싸워

이를 물리쳐야 하는가, 죽는 것은 잠자는 것

오직 그뿐, 만일 잠자는 것으로 육체가 상속받은

마음의 고통과 육체의 피치 못할 괴로움을 끝낼 수만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심으로 바라는 바 극치로다. 죽음은 잠드는 것!

잠들면 꿈을 꾸겠지? , 그게 곤란해.

죽음이란 잠으로 해서 육체의 굴레를 벗어난다면

어떤 꿈들이 찾아올 것인지 그게 문제지.

이것이 우리를 주저하게 만들고, 또한 그것 때문에

이 무참한 인생을 끝까지 살아가게 마련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 누가 이 세상의 채찍과 비웃음과

권력자의 횡포와 세도가의 멸시와

변함없는 사랑의 쓰라림과 끝없는 소송 상태,

관리들의 오만함과 참을성 있는 유력자가

천한 자로부터 받는 모욕을 한 자루의 단검으로

모두 해방시킬 수 있다면 그 누가 참겠는가.

이 무거운 짐을 지고 지루한 인생고에 신음하며 진땀 빼려 하겠는가.

사후의 무언가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면

나그네 한번 가서 돌아온 일 없는

미지의 나라가 의지를 흐르게 하고

그 미지의 나라로 날아가기보다는

오히려 겪어야 할 저 환란을 참게 하지 않는다면--.

하여 미혹은 늘 우리를 겁장이로 만들고

그래서 선명스러운 우리 본래의 결단은

사색의 창백한 우울증으로 해서 병들어 버리고

하늘이라도 찌를 듯 웅대했던 대망도

잡념에 사로잡혀 가던 길이 어긋나고

행동이란 이름을 잃고 말게 되는 것이다.

(햄릿 중에서)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1564__1616)4대 비극 중의 하나인 '햄릿'에서 너무도 유명한 햄릿의 독백. 괴테, 슐레겔, 코울리지, 투르게네프 등 많은 사람들이 햄릿의 성격에 대해서 편하고 있다. 그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투르게네프의 햄릿과 돈키호테에서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셰익스피어는 많은 점에서 자기 자신과 유사한 햄릿이라는 인물을 창조함에 있어서, 그를 자기 자신과 완전히 분리시켜 천부적인 창조력을 자유자재로 발휘한 결과 그 불명확성으로 인해 영원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는 햄릿이라는 형상을 창조해 냈던 것이다. 이 형상을 창조해 낸 영혼은 북부인의 영혼이며, 고통스럽고 음울하며, 조화와 맑은 색채를 상실한 영혼이며 우아하고 때로는 섬세하기 조차한 외형을 한 결코 원만하지 않을 영혼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영혼은 깊고, 강렬하고 다양하며, 독립적이고도 지도자적인 영혼인 것이다...'.


----------------------------------------------------------


풍경소리 황정자

 

가부좌한 천년 고찰 업장을 사루면서

울창한 번뇌의 숲 모질게 베어내고

해탈한 풍경 소리만 깊은 고요 깨운다.


'한국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명시와 시조 1수  (0) 2018.01.16
세계 명시와 시조 1수  (0) 2018.01.15
세계명시와 시조 1수  (0) 2018.01.11
잠언시와 시조 1수  (0) 2018.01.10
잠언시와 시조 1수  (0) 2018.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