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어느 사람이든지 그 자체로써 온전한 섬은 아닐지니, 모든 인간이란 대륙의 한 조각이며 또한 대양의 한 부분이어라. 만일에 흙덩어리가 바닷물에 씻겨 내려가게 될지면, 유럽 땅은 또 그만큼 작아질지며, 만일에 모랫벌이 그렇게 되더라도 마찬가지며, 그대의 친구들이나 그대 자신의 영지가 그렇게 되어도 마찬가지어라. 어느 누구의 죽음이라 할지라도 나를 감소시키나니, 나란 인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이를 위하여 사람을 보내지는 말지라. 종은 바로 그대를 위하여 울리기에. ('기도문'중에서)
*던(John Donne:1572__1631).
영국 최대의 형이상학과 시인으로 국교회의 성직자가 되어 죽을 때까지 성폴교회의 부감독으로 있었다. 그의 성격은 무척 복잡 특이하였으며 생애는 영육과의 고투이었다. 단의 시는 기발한 상념이 넘쳐 종종 극도로 난해한 것이었으나 막힘없는 직감력과 불 같은 감정, 간결하고 강인한 표현은 현대시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가요 시집' '유령' '기념일의 시' 등 많은 작품이 있다.
이 시는 마지막 대목에 있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n the bell tolls)'라는 구절이 헤밍웨이의 소설 제목으로 인용되면서 한층 유명해졌다. 깊은 신앙으로 점철된 명시이다.
-------------------------------------------------------------
외암리 가을소묘(素描) 如心 이인자
이끼 낀 돌담길은 곰삭은 장 맛 같다.
돌아가는 골목마다 낯선 느낌 전혀 없는
포근한 이 마음들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툇마루 걸터 앉은 황금 빛 햇살 끝에
싸릿문 틈 사이로 할머니 환한 웃음
잘 익은 산 빛을 두른 이 넉넉한 정겨움.
'한국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명시와 시조 1수 (0) | 2018.01.17 |
---|---|
세계명시와 시조 1수 (0) | 2018.01.16 |
세계명시와 시조 1수 (0) | 2018.01.12 |
세계명시와 시조 1수 (0) | 2018.01.11 |
잠언시와 시조 1수 (0) | 201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