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오미 사악(五美 四惡)

임기종 2024. 4. 29. 06:21
728x90

 

 

 

다섯 가지 미덕과 네 가지 악덕이란 뜻으로

오미사악(五美四惡)!   이말은 논어구 (論語句)입니다

지금부터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치에 관심이 많은 자장이 스승이신 공자님께 여쭙길

어떻게 하면 국사를 잘 돌보고 정치를 잘할수 있습니까

하고 물으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존오미 병사악(尊五美 屛四惡)이라

즉 다섯가지 미덕을 존중하고  네가지 악을 물리치라는 것입니다 

 

5가지 미덕은

惠而不費 (혜이불비)    勞而不怨 (노이불원

欲而不貪 (욕이불탐)    泰而不驕 (태이불교)

威而不猛 (위이불맹)

 

4가지 악덕은

不敎而殺謂之虐 (불교이살위지학) , 不戒視成謂之暴 (불계시성위지포) ,

慢令致期謂之賊 (만령치기위지적) , 猶之與人也 (유지여인야) ,

出納之吝謂之有司 (출납지린위지유사)

 

 

 

5가지 미덕(美德)부터 풀어봅니다

 

1. 惠而不費  혜이불비

벼슬·관직이 높은 위정자는 은혜를 베풀되 재물을 소비하지

아니하고 백성의 민생 안정과 복리 증진에 힘쓰고 노력할 뿐

자기 자신을 위해 사치하거나 쓸데없이 낭비하지 말라는 의미로

백성들에게 널리 은혜를 베풀되 선심쓰듯 낭비하지는 말고

백성이 이롭게 여기는 일로 실적적인 도움을 주라는 말입니다 .

 

2. 勞而不怨 노이불원

백성을 동원하는 노역,부역이나 과세를 공정하고 공평 무사하게

하여 원성이나 원망이 없도록 하라는 의미로  다시말하면 백성들에게

수고스러운 일을 시키되 원성·원망을 사지 않게 하라는 것입니다

애쓸 가치가 있는 일을 가려서 하게 하면 백성이 원망이 없다는 의미랍니다.

 

3. 欲而不貪 욕이불탐

나라가 융성하게 발전하여 국태 민안하기를 원하고 바랄 뿐 사리 사욕을

탐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자신이 하고자 원하는 바가 있더라도 탐욕,과욕을

부리지 않음을 말하죠. 과욕과 탐욕은 쉽게 뒤섞인다는 사실을 알아야겠죠

 

4. 泰而不驕 태이불교

태연하되 교만하거나 무례하지 아니하며, 나라의 대소사를 흔들림없이

신중하고 대범하게 처리하라는 의미로  편안하고 태연 자약하되

교만,오만하지 않음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

 

5, 威而不猛 위이불맹

위엄이 있으되 사납거나 난폭하지 않아야 한답니다.

위광이 있고 엄숙하되 윽박지르거나 사납거나 난폭하지는 않아야 한답니다.

 

 

 

4가지 악덕(惡德)은

 

첫째, 不敎而殺(불교이살)로서 가르치지 않고 죽이는 것으로

        그물을 쳐놓고 기다리다가 걸리면 바로 잡아들인다는 의미인데요

        이를 학(虐)이라 하는데요. 학은 사나울 학이죠

 

둘째 不戒視成(불계시성)으로 고지하지 않고 완성을 보려는것

       예고 없이 있다가 느닷없이 결과를 요구하는 것 이를 폭(暴)이라 하고.

 

셋째 慢令致期(만령치기)로서 명령을 태만히 해놓고 기한에 맞추라는 것

       평소 관리 감독 없이 있다가 기한만 다그치는 이를 적(賊)이라 부른다

 

넷째 出納之吝(출납지린) 출납에 인색한 것으로 어차피 줄 거면서 질질 끌며

       애를 먹이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오히려 주어야 하는데도 출납을 인색하게

       하는 것 이를 유사(有司)라고 말한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 안의 독소를 키우는 것은 화(火)  (0) 2024.04.30
행운을 끌어당기는 노력의 힘  (0) 2024.04.29
존재의 가치  (0) 2024.04.29
지혜로 가려낸 쭉정이  (1) 2024.04.28
문질빈빈(文質彬彬)  (2)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