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란을 막기 위해 생긴 날 연인들의 축제일 발렌타인. 그러나 이것은 사실 카톨릭 교회가 당시 성대하게 이교의 제전을 말살하려는 의도로 만든 것이다. 기원전 4세기부터 로마에는 해마다 루페르크스라고 하는 신의 제전이 있었는데, 그 제전에서 젊은 남자들은 연인이 될 사람을 찾기 위해 제비를 뽑는 관습이 ..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18
살아남기위해 시작된 마스카라 '불길한 눈초리', '그 눈에 직시 당하면 끝장이다', '응시 당하면 죽는다', '노려보면 화가 찾아온다' 등등. 이것은 세계적으로 믿어온 미신의 하나인 사팔뜨기를 표현하는 상투적 문구다. 사팔뜨기의 미신은 옛날부터 거의 모든 나라에 있었다. 고대 로마에는 사팔눈을 가진 직업 마술사가..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17
금요일은 악마의 안식일 불길하다고 하는 미신 가운데서도 13이라는 숫자를 둘러싼 미신만큼 오늘날에도 갖가지 형태로 서구인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드물다. 예를 들면 프랑스에는 13번지의 집이 없고, 이탈리아에도 복권에 13번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국내선, 국제선 항공기에도 13번 좌석은 없다. ..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14
비오는 날에만 돈을 건다 나폴레옹은 검은 고양이를 싫어했고, 소크라테스는 사팔뜨기를 무서워했다. 줄리어스 시저는 꿈을 두려워했고, 헨리 8세는 앤 블린과의 결혼을 마술에 홀린 탓으로 돌렸다. 표트르 대제는 다리를 건너는 것을 병적으로 싫어했고, 새뮤얼 존슨은 건물에 들어 갈 때나 나올 때 반드시 오른..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13
악수는 무기가 없다는 의사 표현? 가장 오래된 기록에 의하면 악수는 천상의 신이 지상의 지배자에게 권력을 수여하는 동작이라고 한다. 이집트의 상형문자에서 손을 내민 그림이 '주다'하는 뜻을 나타내는 것도 여기에서 온 것이다. 기원전 1800년경 바빌로니아에서는 새해를 맞이할 때마다 축제를 벌이고는 그 자리에서 ..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10
생일축하는 이교도의 제전 오늘날 살아 있는 사람의 생일을 축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서양의 옛 전통에 따르면 죽은 사람의 기일을 해마다 더욱 성대하게 기념해야 한다. 오늘날의 생일 축하 풍습은 과거의 관습으로부터 180도 전환을 거친 것이 많다. 옛날에는 아이들의 생일을 축하하는 일은 결코 없..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07
약탈해온 신부를 숨기는 곳은? 원래의 허니문과 지금의 허니문은 의미가 아주 다르다. 지금의 허니문은 말할 것도 없이 결혼 생활의 전주곡이며 둘만의 행복한 격리 기간이기도 하다. 그러나 예전의 허니문 기간은 전혀 행복한 것이 아니었다. 그 옛날 북유럽에서 약탈혼이 성행하고 있을 때 신부를 가까운 마을에서 ..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06
웨딩드레스의 색깔논쟁 하얀색은 청정과 순결을 나타내는 색깔이다. 그러나 고대 로마에서는 신부가 노란색 드레스를 입고 머리에는 노란 베일을 썼다. 사실 신부가 쓰는 베일은 웨딩드레스보다 역사가 오래 되었다. 그리고 베일은 신부가 쓰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 복식 사가들에 의하면 베일은 남자가 만들.. 여행 ,그림 그리고 이야기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