憂患如山 一笑空(우환여산 일소공)
산(山)같이 큰 걱정도 웃고 나니 그만이데
천하에 새옹(塞翁)있어 그래도 살아지니
모두가 마음 먹기네 일체(一切)가 유심조(唯心造)라.
---
새옹: 새옹지마(塞翁之馬)에서 빌림.
중국 변방에 점을 잘 치는 사람이 살았다.
어느 날, 그의 말(馬)이 까닭 없이 오랑캐 땅으로 도망쳐 버렸다.
사람들이 모두 이를 위로하자 노인이 말했다.
“이것이 무슨 복(福)이 될는지 어찌 알겠소?”
몇 달이 지난 후, 말이 오랑캐의 준마(駿馬)를 데리고 돌아왔다.
사람들이 모두 이를 축하하였다. 그러자 노인이 말했다.
“그것이 무슨 화(禍)가 될는지 어찌 알겠소?”
집에 좋은 말이 생기자 말 타기를 좋아하던 노인의 아들이 그 말을 타고 달리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사람들이 모두 이를 위로했다.
노인이 말했다.
“이것이 혹시 복이 될는지 어찌 알겠소?”
1년 후, 오랑캐들이 대거 요새에 쳐들어오자 장정들이 활을 들고 싸움터에 나갔다.
변방 근처의 사람들은 열에 아홉이 죽었는데,
이 사람은 다리가 불구라 부자(父子) 모두 무사할 수 있었다.
이 이야기는 회남자(淮南子)인생훈(人生訓)에 나오는데,
여기에서 변방 노인의 말이란 뜻 ‘새옹지마(塞翁之馬)’가 유래했다.
이 이야기는 다른 판본도 있는데, 내용은 대동소이하며 말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덧붙어 있다.
고로 복이 화가 되고 화가 복이 되는 등, 변화는 끝이 없고 그 깊이는 예측할 수가 없는 것이다.
(故福之爲禍, 禍之爲福, 化不可極, 深不可測也.)
'현대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야(雪夜) (0) | 2024.01.18 |
---|---|
대춘(待春) (0) | 2024.01.17 |
넬라 판타지아 (Nella Fantasia) (1) | 2024.01.14 |
자네가 한량이네 (0) | 2024.01.12 |
老覺人生 萬事非(노각인생 만사비) (0)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