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가 쏟아지는 우리 선인들 이야기 깨가 쏟아지는 우리 선인들 이야기 머리말 어느 늦가을, 직장에서 이슥토록 근무한 이가 버스를 타고 퇴근을 하였다. 시끄러운 거리를 벗어나 주택가 골목으로 접어들었을 때, 아! 그 조용하기라니... 하늘을 쳐다보니 보름을 지난 달이 둥두렷이 내려다보고 있다. 양쪽 주택 정원의 나무.. 해학과 재치 2014.05.14
김선달의 무전여행 김선달의 무전여행 이야기꾼 이훈종 지음 한길사 김선달의 무전여행 지은이 이훈종은 서울에서 자라 1938년 경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71년이후 중국문화학원 중문 연구소에서 2년간 연구,1978년 중화학술원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학교 교사, 중고등학교 교사 교감, 건국대학.. 해학과 재치 2014.05.14
김선달의 무전여행 김선달의 무전여행 이야기꾼 이훈종 지음 한길사 김선달의 무전여행 지은이 이훈종은 서울에서 자라 1938년 경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71년이후 중국문화학원 중문 연구소에서 2년간 연구,1978년 중화학술원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학교 교사, 중고등학교 교사 교감, 건국대학.. 해학과 재치 2014.05.08
우스개 소리 360 우스개 소리 360선 1. 개미의 집 주소는? 허리도 가늘군 만지면 부러지리. # 심층문제 : 그렇다면 천하일색 양귀비의 집 주소는? - 예쁘기도 예쁘군 만져보면 좋으리 - 몸매도 군 한번 하 면 기똥차리 - 거시기 도 깊숙하 군 담그 면 헤매 리 2. 타이타닉의 구명보트에는 몇 명이 탈수 있을까? 9.. 해학과 재치 2014.04.28
순간 포착 50선 순간 포착 50선 1. Photograph by REUTERS/Luke MacGrego (via Reuters Olympics on Facebook) 2 Photograph by JAY FINE (via The Big Picture) 3. Photograph by MARCO QUERAL (via Daily Mail) 4. Photograph via Former_Manc on Reddit 5. Photograph by Jrn Kessels | Foto Kessels on Facebook 6. Photograph by ADAM PRETTY (via Photo Blog on NBC News 7. Photograph by Liammm on Reddit 8. P.. 해학과 재치 2014.02.26
나이가 들면... 어떤 책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100미터 밖에서 아내를 불렀는데 대답이 없으면 아내가 조금 늙은거고 50미터 밖에서 불렀는데 대답을 못하면 많이 늙은거다. 10미터 밖에서 불렀는데 대답을 못하면 심각한 상태다. 이런 내용을 읽고난 남편은 자신의 아내가 어느 정도 늙었을까 궁금해져.. 해학과 재치 2013.09.29
유머 보다 더 재미있는 유머 유머보다 재미있는 유머! (“Laughter is the best medicine.") 차동엽 신부가 쓴 "무지개원리"에 이런 내용이 나옵니다. 한 사람이 낙천주의자에게 행복해지는 비법을 물었답니다. "만약 당신이 모든 친구를 잃는다면 그래도 행복할 수 있나요?' "그럼요.. 비록 친구는 잃었어도, 내 자신은 잃지 않.. 해학과 재치 2013.09.27
웃음자료 웃음자료 인간의 뇌속 "웃음 지역 (laughter spot)" 미국의 의사팀이 사람의 뇌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지역을 발견했다고 네이처지에서 보고된 적이 있다. 이들은 10대 소녀의 좌측 전두엽에 존재하는 웃음에 민감한 부분을 약한 전류로 자극하였을 때 이 소녀가 웃음을 참지 못함을 발견하였.. 해학과 재치 2013.09.05
유태인의 유머 유 머 원동력이 된 유머 유태 민족 5000년의 역사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이들 유태인들은 숱한 역경과 곤란 속에서도 그들 자신을 지켜준 웃음과 해학의 지혜를 키워왔다. <탈무드>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이들의 유머는 세계 어느 민족에도 뒤지지 않는 번뜩이는 기지와 의.. 해학과 재치 2013.07.09
팔도재담집 八 道 才 談 集 <팔도재담집(八道才談集)>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 유일본이다. 이 재담집은 강의영(姜義永)이 편저자로 1918년에 영창서관(永昌書舘)에서 딱지본의 형태로 간행되었다. 현재 유일본으로 전해지는 것은 1919년에 재판된 것이다. 본 .. 해학과 재치 2013.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