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 아 - 박세영(朴世永)
순아 내 사랑하는 동생,
둘도 없는 내 귀여운 누이
내가 홀홀이 집을 떠날 제
너는 열 여섯의 소녀.
밤벌레같이 포동포동하고
샛별 같은 네 눈,
내 어찌 그 때를 잊으랴.
순아 너, 내 사랑하는 순아,
너는 오빠 없는 집을 버리려고
내가 집을 떠나자마자
서울로 갔드란 말이냐.
집에는 홀어머니만 남기고,
어찌하면 못살어
놈들의 꼬임에 빠져 가고 말었더냐.
어머닌 어쩌라고 너마저 갔더란 말이냐.
그야 낸들 목숨이 아까와 떠났겠니,
우리들의 일을 위하여
산 설고 물 설은 딴 나라로,
달포나 걸어가지 않었겠니.
어느듯 그 때도 삼년 전 옛 일,
내 몸은 헐벗고 여위고
한숨의 긴 날을 보냈을 망정,
조국을 살리려는 오즉 그 뜻 하나로
나는 양식을 삼었거니.
너, 내 사랑하는 순아!
빼앗긴 조국은 해방이 되여
왜놈의 넋이 타 버리고,
오빠는 미칠듯 서풍모냥 왔는데도
너는 병든 몸으로 돌아오다니.
딴 시악씨드냐,
그 고왔던 얼굴이 어디로 가고
내 그 옛날 순이는 찾을 길 없고나.
가여워라 지금의 네 모습
어쩌면 그다지도 해쓱하냐,
어린 너의 피까지 앗어가다니
놈들의 공장 악마의 넋이 아직도 씨였니.
그러나 너, 내 사랑하는 순아,
집을 돌보려는 너의 뜻 장하고나,
낮과 밤, 거리거리로
입술에 북홍칠*하고 나돌아다니는
오직 행락만 꿈꾸는 시악씨들보다야.
왜놈의 턱찌끼를 얻어먹고 호사하며,
침략자와 어울리여 민족을 팔아먹으랴던
반역자의 노리개가 아닌 너 순아
차라리 깨끗하고나,
조선의 순진하고 참다운 계집애로구나.
* 북홍(北紅)칠: 매우 붉은 색칠
(시집 {횃불}, 1946)
-------------------
흐린 날 /이 명 희
묵언을 쌓고 있는 힘이 든 침묵의 늪
먼 발치 다가선 그림자 잡다가 허방 짚는
공허한 웃음소리가 통증을 일으킨다.
욕심으로 포장된 맘 어깃장을 놓는다
허기진 마음 자락 채울 길이 없다며
골짜기 깊은 늪 속에서 속 울음 쏟아낸다.
하늘이 흐릿하니 땅도 우울하다
문설주 기대앉아 고요의 껍질을 벗기며
포물선 그리는 하루 분꽃 씨로 익는다.
'한국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3.24 |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3.23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3.21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3.17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