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추억(追憶)에서 - 박재삼(朴在森)
진주(晋州) 장터 생어물(生魚物)전에는
바다 밑이 깔리는 해 다 진 어스름을,
울엄매의 장사 끝에 남은 고기 몇 마리의
빛 발(發)하는 눈깔들이 속절없이
은전(銀錢)만큼 손 안 닿는 한(恨)이던가.
울엄매야 울엄매,
별밭은 또 그리 멀리
우리 오누이의 머리 맞댄 골방 안 되어
손시리게 떨던가 손시리게 떨던가,
진주 남강(晋州南江) 맑다 해도
오명 가명
신새벽이나 별빛에 보는 것을,
울엄매의 마음은 어떠했을꼬.
달빛 받은 옹기전의 옹기들같이
말없이 글썽이고 반짝이던 것인가.
(시집 {춘향이 마음}, 1962)
--------------------------------
春鵲(봄 까치)/김 승 규
도화유수(桃花流水) 응내강 가
연푸른 능라버들
강마을 일지도화(一枝桃花)
방그레 곱-다랗다.
가시내
냇둑의 봄을 캐며
꽃 댕기 자랑한다.
'한국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6.21 |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6.20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6.16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6.15 |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 2016.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