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낮술에 취하다
‘석잔(三盃)에 도통(道通)하고 한말(一斗)이면 합자연(合自然)’
외치던 이태백(李太白)은 어디로 가셨는가
낮술에 취한 영혼만 시간 속을 헤맨다.
이백(李白)을 핑계 삼아 술잔을 기우려도
무언가 알듯 말듯 머리만 복잡하고
아브락 사스(Abraxas)의 부름은 들리지도 않더라.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새의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만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이다“
- 데미안 중에서
'현대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켈란젤로의 조각품 (0) | 2023.08.27 |
---|---|
염부(鹽夫)의 하루 (0) | 2023.08.26 |
대관령 옛길 (내리막) (0) | 2023.08.26 |
매창이 뜸에서 (0) | 2023.08.25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0)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