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심리학 45

거울 자아이론 (Looking glass self)

거울 속 자신을 보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이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 혹은 다른 사람들이 기대한다고 생각되는 모습을 자기모습의 일부분으로 흡수하여 자아상을 형성해 가는 이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생동을 긍정적으로 인정해주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만 부정적으로 평가 한다고 느껴지면 자아상도 부정적이 된다는 이론이다. 한마디로 타인의 의견에 반응하면서 사회적 자아가 형성된다는 개념이다. 하지만 이 세상에서 나를 제일 많이 보는 사람은 분명히 나인데 남의 눈치에 연연하며 살 필요가 있을까.

생활심리학 2023.06.18

갈라파고스 증후군(Galapagos syndrome)

세계적인 기술력으로 만든 상품이지만 자국시장 만을 생각한 표준과 규격을 사용하여 국제적으로 고립되는 현상이다. 갈라파고스 제도는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1,000km 떨어진 군도이다. 다윈은 대륙과 격리된 이 섬에서 고유한 종을 발견했는데 이는 다른 대륙과 무관하게 진화한 특이종이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수이자 휴대전화 인터넷망의 개발자인 나스노 다케시가 2007년 이런 현상을 갈라파고스 증후군이라고 이름 지었다. 일본 소니나 파나소닉같은 전자기업은 세계적으로 독보적이었으나 일본 자국의 내수시장만 겨냥해 생산하다가 다른 나라에 선두자리를 내주었다.

생활심리학 2023.06.16

가면 증후군( Imposter syndrome)

자신의 성공을 노력이 아닌 운 때문이라고 평가절하하는 심리현상으로 주변사람들을 속여 왔다는 생각에 불안해 한다. 이를 사기꾼 증후군이라 하는데 영어의 Imposter는 사기꾼 또는 협잡꾼을 뜻한다. 이 가면증후군은 성공한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데 자신이 성공한 것을 들키지 않으려고 지나치게 근면, 성실한 모습을 보이거나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자신의 직관이나 매력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는 타인의 높은 기대속에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을 때 겪을 충격을 사전에 완화 시키려는 방어기제의 일환이다.

생활심리학 2023.06.15

가짜약 효과(Placebo Effect)

약효가 전혀 없는 약을 먹고도 약효 때문에 병이 나은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현상을 '가짜약 효과'라고 한다. 즉 플라시보 효과라 한다. 가짜약이란 뜻의 한자어를 써서 '위약 효과'라고도 한다. 플라시보란, 생물학적으로는 아무런 효과가 없는 중성적인 물질이지만 그것이 효과가 있다고 믿는 사람들에게는 실제 효과가 나타나는 약물이나 물질을 말한다. 플라시보는 '기쁨을 주다' 혹은 ' 즐겁게 하다'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가짜약 효과는 단순히 약품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병원이나 의사등을 신임할때 그 결과가 나타난다. 똑 같은 약이라도 가격이 높으면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또 솔직하고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새로운 경험을 긍적적으로 받아들이므로 그 효과가 크다.

생활심리학 2023.06.14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

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닭고기를 먹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배탈이 났다고 하더라도 닭고기와 배탈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특정한 먹거리의 미각과 뒤에 따르는 결과(질병) 사이의 관련성을 학습하는 놀랄 만한 재능을 '가르시아 효과'라고 한다. 가르시아 효과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유기체들이 가지고 있는 생존 본능이다. 사람과 동물은 자기의 생명을 위협하는 먹거리를 한 번의 경험만으로도 터득하는 놀라운 재능을 가지고 있다. 미국 심리학자 존 가르시아와 동료들이 1955년 쥐를 대상으로 행한 실험에서 유래한다. 쥐에게 사카린이 든 물을 먹이고 일정시간 감마선을 쏘아 먹은..

생활심리학 2023.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