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非子 중에서 -진리의 말도 때와 장소를 가려야 한다
정나라 무공이 호나라를 공격하고 싶었다. 그래서 먼저 자기 딸을 호나라 임금의 아내로 주어 그의 마음을 기쁘게 하였다. 그리고는 여러 신하에게 물었다.
"내가 전쟁을 하려 하는데 어느 나라를 공격하는 것이 좋겠는가."
대부 관기사가 대답했다.
"호나라를 치는 것이 좋겠습니다."
무공은 몹시 화가나서
"호나라는 형제의 나라이다. 네 어찌 형제의 나라를 치라고 하느냐."
하고 관기사를 죽여버렸다.
호나라 임금이 그 말을 전해 듣고, 정나라가 자기를 친애한다고 생각하고 정나라에 대해 경계를 하지 않았다.
그러자 정나라가 이 틈을 타 호나라를 습격하여 점령해 버렸다.
송나라에 부자가 있었다. 하루는 비가 많이 내려서 담이 무너졌다. 그의 아들이 말했다.
"담을 새로 쌓지 않으면 반드시 도둑이 들어올 것입니다."
이웃의 늙은이도 역시 그렇게 말했다.
정말로 그날 밤에 도둑이 들어 많은 재물을 잃게 되었다.
그 집안에서는 아들은 매우 지모가 있다고 여기는반면 혹시 이웃집 늙은이가 저질은 일이 아닌가 의심을 하였다.
이 두 사람이 말한 것은 모두 이치에 맞는다. 그러나 심한 경우는 죽음을 당하고, 또는 도둑으로 의심을 받게 되었다. 그러므로 알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아는 것을 어떻게 알리느냐가 어려운 것이다.
진(秦)나라의 요조는 진(晋)나라의 계략을 분명하게 알아차렸지만, 진(晋)나라에서는 그를 성인이라 감탄하였어도 진(秦)나라에서는 진(晋)나라와의 관계를 의심받아 죽음을 당했던 것이다. 설득자는 이러한 것을 반드시 살펴야 한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非子 중에서 -설득하기 전에 신임을 얻어야 한다 (0) | 2015.11.06 |
---|---|
팔만대장경에 나오는 이야기 4 (0) | 2015.11.05 |
팔만대장경에 나오는 이야기 3 (0) | 2015.11.03 |
이야기 고사성어 - 후생가외(끝) (0) | 2015.11.03 |
韓非子중에서 -상대의 뜻에 맞추면 설득은 성공한다 (0) | 201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