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혁지시(裹革之尸)
裹:쌀 과, 革:가죽 혁, 之:∼의, 尸:시체 시
전쟁에서 싸우다 죽은 시체.
자신을 알아줄 때 목숨도 바치지만
어설픈 자만심이 목숨을 앗아가니
버리면 찾을 수 없네 한번뿐인 삶인데.
後漢書(후한서)馬援傳(마원전)에 나오는 말이다.
마원은 후한 광무제 때 伏波將軍(복파장군)으로 지금의 월남인 交趾(교지)를 평정하고 돌아온 용맹과 인격이 뛰어난 맹장으로 다시 계속해서 남부지방 일대를 평정하고 수도 낙양으로 돌아왔을 때 많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았다. 환영 인파 속에는 지모가 뛰어나기로 유명한 孟翼(맹익)도 있었는데 그도 판에 박은 듯한 인사말을 하자 마원은,
“나는 그대가 남다른 충고의 말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는데 남과 똑같은 인사만 한단 말인가. 옛날 복파장군 路博德(노박덕)이 南越(남월)을 평정하고 일곱 郡(군)을 새로 만드는 큰 공을 세우고도 겨우 수백 호의 작은 봉토를 받았다. 지금 나는 별로 큰 공을 세우지도 못했는데 작은 공에 비해 상이 너무 크네. 이대로 영광을 오래 누릴 수는 없을 것 같네. 그대에게 무슨 좋은 생각이 없는가?”
맹익이 좋은 꾀가 생각나지 않는다고 하자 마원은,
“지금 흉노와 烏桓(오환)이 북쪽 변경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이들을 정벌할 것을 청하리라. 사나이는 마땅히 변방 싸움터에서 죽어야만 한다. 말가죽으로 시체를 싸서 돌아와 장사를 지낼 뿐이다.(以馬革裹尸還葬耳) 어찌 침대 위에 누워 여자의 시중을 받으며 죽을 수 있겠는가?”
그가 다시 싸움터에 나가게 되자 광무제는 백관들에게 조서를 내려 마원을 다같이 환송토록 명했다고 한다.
'시조와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전이하(瓜田李下) (0) | 2025.02.18 |
---|---|
과유불급(過猶不及) (0) | 2025.02.13 |
골육상쟁(骨肉相爭) (0) | 2025.01.31 |
曲學阿世(곡학아세) (0) | 2025.01.26 |
고침안면(高枕安眠)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