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700

가장 쉬운 일과 가장 어려운 일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했던마케도니아 왕국 출신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사람들은 어려운 일이 생기면 그를 찾아가조언을 구했습니다.그런데 어느 날, 한 남자가아리스토텔레스에게 뜬금없이 수수께끼와 같은질문을 던졌습니다."당신은 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그러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에게바로 대답했습니다."자신을 아는 일입니다."그러자 남자는 이번엔 가장 쉬운 일을 물었고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했습니다."남 이야기를 하는 것입니다."우리는 자신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더 많이 배웠다고, 더 많이 가졌다고 생각하지만알고 보면 아무것도 아닙니다.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이러쿵저러쿵 비난하기보다는자신을 돌아보면서 부족함을 찾는 것이참된 지혜입니다.# 오늘의 명언남의 이야기를 ..

좋은글 2025.01.11

고복격양(鼓腹擊壤)

고복격양(鼓腹擊壤)鼓:북‧북칠 고. 腹:배 복. 擊:칠 격. 壤:땅 양. 임금이 뭘 하는지 누군지 모르지만백성이 걱정 없고 행복하게 산다면치국(治國)을 잘하는 거다 바람직한 군주상(君主像) 배를 두드리고 발을 구르며 흥겨워한다는 뜻, 태평성대를 이르는 말. 줄여서 擊壤(격양)이다. 같은 뜻으로 擊壤之歌(격양지가), 擊壤歌(격양가). 堯舜之節(요순시절), 太平聖代(태평성대) 가 있다.十八史略(십팔사략)의 帝堯篇(제요편)과 樂府詩集(악부시집)의 擊壤歌(격양가)에 나온다.  옛날 중국에 성군으로 이름난 요(堯) 임금이 선정을 베풀어 온 지도 어느덧 50년이 지났다. 하루하루를 태평하게 지내던 어느 날, 요 임금은 정말로 세상이 잘 다스려지고 있는지 궁금하여 일반 백성의 옷을 입고 민정을 살펴보러 나갔다. 어느..

육담(肉談). 기생의 기둥서방

이몽이란 선비가 금강선(錦江仙)이란 기생과 함께 살고 있었다. 그런데 금강선은 춤과 노래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서, 부잣집과 높은 벼슬아치 집 잔치에 많이 불려 다니면서 여러 남자들과 어울렸다. 그래서 이몽은 질투심이 생겨 늘 의심하고 싫어하는 기색을 나타내 보였다. 이에 금강선은 불쾌한 생각이 들어서 이몽에게 말했다."내 비록 기생이나 당신과 살고 있기 때문에 몸을 조심하고 함부로 다른 남자와 잠자리를 하는 일이 없는데, 당신이 그렇게 나를 못 믿어 질투하고 의심을 하니, 그렇다면 내가 초청되어 가는 잔치에 몰래 와서 숨어 한번 살펴보시오."이러고 어느 날 6조(六曺)관리들이 모임을 갖는 자리에 초청 되었을 때, 이몽에게 종의 옷을 입게 하고 몰래 와서 종들이 모여 있는 곳에 섞여 숨어서 구경을 해보라고..

해학과 재치 2025.01.11

바다에 빠진 소

아일랜드에서는 배로 소를 운반할 때,뭍에 가까워지면 소를 바다에 빠뜨린다고 합니다.소들이 스스로 헤엄쳐 가도록 하는데겉보기엔 잔인해 보일 수 있지만,실제로는 소들에게 이 방법이꽤 자연스럽습니다.소는 네 개의 위장을 가지고 있으며,장도 매우 길어서 체내에 가스가 많이 차 있습니다.이 덕분에 소는 마치 구명조끼를 착용한 것처럼물에서도 잘 뜨며, 오랜 시간 동안수영할 수 있습니다.연구에 따르면, 소는 무려 5시간 동안해안까지 헤엄칠 수 있다고 합니다.특히, 수심이 얕아 배가 해안에 정박하기 어려운 경우,소를 바다에 빠뜨리는 것이 오히려 더 안전한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그리고 바닷물 염분에 의해소의 몸에 붙어 있는 진드기나 기생충이소독된다고 합니다.얼핏 이상해 보이는 아일랜드의소 운송 방법은 소들의 특성을 고려..

좋은글 2025.01.10

계명구도(鷄鳴狗盜)

계명구도(鷄鳴狗盜) 鷄:닭 계. 鳴:울 명. 拘:개 구. 盜:도둑 도. 아무리 비천해도 재능은 하나 있어외모로 사람판단 절대로 금물이다옛말에 개똥조차도 쓸데 있다 하더라.  닭의 울음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도둑이라는 뜻. 알 필요가 없는 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이나 희한한 재주를 가진 사람도 때로는 쓸모가 있음을 비유 비슷한 말로函谷鷄鳴(함곡계명)이란 말이 있다. 史記(사기)의 孟嘗君列傳(맹상군열전)에 나오는 말이다. 전국시대 중엽, 齊(제)나라 孟嘗君(맹상군)은 왕족으로 재상을 지낸 정곽군의 40여 자녀 중 서자로 태어났다. 정곽군은 자질이 뛰어난 그를 후계자로 삼았다. 이윽고 설땅의 영주가 된 맹상군은 선정을 베풀고 널리 인재를 모아 명성을 떨쳤다. 수천 명에 이르는 그의 식객 중에..

칭찬과 아첨의 차이?

답은 간단하다. 한 쪽은 진지하고, 다른 한 쪽은 무성의한 것이다.한 쪽은 마음 속으로 부터 나오는 것이고, 다른 한 쪽은 이빨 사이에서 새어나오는 것이다. - 데일 카네기의《카네기 인간관계론》중에서 - 어느 날 까마귀가 치즈 한 조각을 훔쳐서 그것을 조용히 먹으려고 숲 속으로 날아갔습니다. 마침 여우 한 마리가 길을 가다가 나무 위를 쳐다보니 치즈를 물고 가는 까마귀가 눈에 보였습니다.'그 치즈, 냄새도 좋다. 저것을 꼭 빼앗아야지." 여우는 나무 가까이 와서 까마귀에게 말을 건넸습니다. "까마귀님, 당신은 참으로 아름다운 짐승입니다. 나는 당신이 이렇게 아름다움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그런데 참, 까마귀님의 음성도 아름답겠지요? 만일 그러시다면 까마귀님은 조류의 여왕으로 불림이 당연합니다..

좋은글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