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4

입(口)

입(口)이란 무엇인가?입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구이다.입을 통해서 밥. 과일. 고기도 먹고 술도 마신다.음식물이 입에 들어가야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고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우리가 먹는 음식물이 어디서 왔는가?땅(地)에서 나온 것들이다.인간이 먹는 음식물이란 땅의 지기(地氣)를 받고 자란 것들이다.이렇게 보면 입은 지기(地氣)가 들어가는 곳이다.그러면 천기(天氣 )가 들어가는 곳은 어디? 코(鼻)다.사람은 코를 통해서 산소를 흡입한다.산소는 바로 천기가 아닌가.천기를 흡입하는 코와지기(地氣)를 섭취하는 입의 사이에 있는 부위가바로 인중(人中)이다.사람의 가운데란 뜻이다.이 부위가 인중(人中)이라는 이름이 된 이유는천기와 지기의 중간이기 때문이다.다른 이유는 인중 위쪽 으로는 구멍이 2개씩 이다 .콧구멍도..

좋은글 2025.05.01

구사(九思)(아홉 가지 생각)

소학(小學)에는 행실을 바로잡는 마음가짐으로 구사(九思)가 기록돼 있다. 이 말은 율곡(栗谷) 이이 (李珥) 선생이 공부하는 요령을 가르치기 위해 지은 격몽요결(擊蒙要訣)에도 인용돼 있다. 표정과 행동은 생각에서 비롯되는 것이다.이 구사(九思)의 내용을 보고 우리 조상들이 마음가짐을 올바로 하기 위해 얼마나 고심했는지를 생각하면서 본받아야 할 것이다. ① 시사명(視思明): 밝고 바르며 옳게 보아야겠다고 생각한다. ② 청사총(聽思聰): 소리의 참뜻을 밝게 들어야겠다고 생각한다. ③ 색사온(色思溫): 표정은 온화하게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④ 모사공(貌思恭): 몸가짐과 차림은 공손해야겠다고 생각한다. ⑤ 언사충(言思忠): 말은 참되게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⑥ 사사경(事思敬): 어른을 섬길 때는 공경스러워야 한..

좋은글 2025.05.01

만대리 가는 길

만대리 가는 길 '엄니이 무겁지유~ 얼른 앉으시유~''아부지 신수 훤헌디~ 존데 가는 개비유~'만대리 가는 버스에는 안내양이 있더라. 등산용 스틱(stick)보고 '워디 낚시 가시 유?소싯적 괴기 둬 바께스는 일도 아녔는디'촌로(村老)의 호기(豪氣) 속에서 소주 내가 동(動)했다. 큼직한 자루 들고 할머니가 오르자또래의 영감들이 자리를 양보하고만대리 가는 버스에는 정(情)도 함께 타더라. * 만대리: 충남 태안군 만대리* 스틱(stick): 등산 지팡이(2013. 3. 9 쓴 글을 조금 고침)

현대시조 2025.05.01

소실의 재치

충주목사 한 사람이 이방의 소실이 절색이라는 소문을 듣고 여인을 뺏으려고 수작을 부렸다."내가 무슨 말이든지 세 번 묻는 말에 대답을 하면 돈 천 냥을 주고 대답을 못하면 네 소실을 내게 주어야 한다."하면서 묻기 시작했다."너의 집 사랑방 앞에 서 있는 배나무 가지마다 참새가 앉으면 모두 몇 마리가 되겠느냐?""모르겠습니다.""그러면 하룻밤에 보름달이 몇 리나 가겠느냐?""그것도 모르겠습니다.""그러면 내가 지금 앉겠느냐, 서겠느냐?'"그것은 더욱 모르겠습니다. "약속은 약속인지라 이방이 대답을 못했으니 소실을 데려다 줄 수 밖에 없었다. 목사가 보니 과연 절색이었다."호! 이리로 올라오너라. "그러자 이방의 소실이 대꾸했다."올라가는 거야 바쁠 것이 없습니다만 대관절 쇤네의 지아비가 무슨 잘못을 해서..

해학과 재치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