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漢字)

관포지교(管鮑之交)

임기종 2023. 2. 21. 07:02
728x90

관포지교(管鮑之交)

:대롱 관. :절인 고기 포. :갈 지(‧‧‧). :사귈 교.

 

관중(管仲)과 포숙아(鮑淑牙) 사이와 같은 사귐이란 뜻,

시세(時勢)를 떠나 친구를 위하는 두터운 우정을 일컫는 말.

 

같은 뜻으로 管鮑交(관포교)가 있다. 비슷한 말로는 刎頸之交(문경지교), 金蘭之交(금란지교), 斷金之交(단금지교), 水魚之交(수어지교), 膠漆之交(교칠지교), 莫逆之友(막역지우)가 있고 반대말은 市道之交(시도지교)이다.

史記(사기) 管仲列傳(관중열전) 列子(열자) 力命篇(역명편)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 시대 초엽, ()나라에 관중(?B.C. 645)과 포숙아라는 두 관리가 있었다.

이들은 竹馬故友(죽마고우)로 둘도 없는 친구였다. 관중이 公子(공자) ()의 측근(보좌관)으로, 포숙아가 규의 이복동생인 小白(소백)의 측근으로 있을 때 공자의 아버지 襄公(양공)이 사촌 동생 公孫無知(공손무지)에게 시해되자(B.C 686) 관중과 포숙아는 각각 공자와 함께 이웃 ()나라와 ()나라로 망명했다. 이듬해 공손무지가 살해되자 두 공자는 君位(군위:임금 자리)를 다투어 귀국을 서둘렀고 관중과 포숙아는 본의 아니게 政敵(정적:정치적 대적 관계)이 되었다. 관중은 한때 소백을 암살하려 했으나 그가 먼저 귀국하여 환공(桓公:B.C. 685643)이라 일컫고 노나라에 공자 규의 처형과 아울러 관중의 압송을 요구했다. 환공이 압송된 관중을 죽이려 하자 포숙아는 이렇게 진언했다.

전하, 제 한 나라만 다스리는 것으로 만족하신다면 신()으로도 충분할 것이옵니다. 하오나 천하의 패자(覇者)가 되시려면 관중을 기용하시오소서.”

도량이 넓고 식견이 높은 환공은 신뢰하는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들여 관중을 大夫(대부)로 중용하고 정사를 맡겼다. 이윽고 재상이 된 관중은 과연 대정치가다운 수완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을 안다 倉廩實則 知禮節

의식이 풍족해야 영욕을 안다 衣食足則 知榮辱

 

고 한 관중의 유명한 정치철학이 말해 주듯, 그는 국민 경제의 안정에 입각한 德本主義(덕본주의)의 선정을 베풀어 마침내 환공으로 하여금 春秋(춘추)시대의 첫 패자로 군림케 하였다. 이 같은 정치적인 성공은 환공의 관용과 관중의 재능이 한데 어우러진 결과이긴 하지만 그 출발점은 역시 관중에 대한 포숙아의 변함없는 우정에 있었다. 그래서 관중은 훗날 포숙아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이렇게 술회하고 있다.

나는 젊어서 포숙아와 장사를 할 때 늘 이익금을 내가 더 많이 차지했었으나 그는 나를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하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그를 위해 한 사업이 실패하여 그를 궁지에 빠뜨린 일이 있었지만 나를 용렬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일에는 성공과 실패가 있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또 벼슬길에 나갔다가는 물러나곤 했었지만 나를 무능하다고 말하지 않았다. 내게 운이 따르고 있지 않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디 그뿐인가. 나는 싸움터에서도 도망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지만 나를 겁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게 노모가 계시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튼 나를 낳아준 분은 부모이지만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이다(生我者父母 知我者鮑淑牙)’”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이 알아지고

의식이 풍족해야 영욕을 안다하나

절친이 없는 삶이면 어찌 산다 하리오.

'한자(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일미구(曠日彌久)  (1) 2023.02.28
괄목상대(刮目相對)  (0) 2023.02.24
과혁지시(裹革之尸)  (0) 2023.02.18
과전이하(瓜田李下)  (1) 2023.02.16
고사성어와 시조  (0) 20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