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임기종 2017. 3. 23. 07:56
728x90



고고(孤高) - 김종길 -

 

북한산(北漢山)

다시 그 높이를 회복하려면

다음 겨울까지는 기다려야만 한다.

밤사이 눈이 내린,

그것도 백운대(白雲臺)나 인수봉(仁壽峰) 같은

높은 봉우리만이 옅은 화장을 하듯

가볍게 눈을 쓰고

왼 산은 차가운 수묵으로 젖어 있는,

어느 겨울날 이른 아침까지는 기다려야만 한다.

신록이나 단풍,

골짜기를 피어오르는 안개로는,

눈이라도 왼 산을 뒤덮는 적설(積雪)로는 드러나지 않는,

심지어는 장밋빛 햇살이 와 닿기만 해도 변질하는,

그 고고(孤高)한 높이를 회복하려면

백운대와 인수봉만이 가볍게 눈을 쓰는

어느 겨울날 이른 아침까지는

기다려야만 한다.

----------------------------------------



무엇이 있나 - 엄미경 -

 

썰물이 나가고 난 바다와 마주 앉아

노을을 진창 쏟는 하늘이 서러워져

손가락 젖은 모래에 낙서처럼 너를 쓴다

 

검은 물밑 저희끼리 춤을 추고 나부대고

오색의 열대어를 감싸안는 해초 숲

계절은 자꾸 깊어져 알 수 없는 노랫말

 

천년을 또 흐르고 바람은 아직 불어

가슴이 서늘히 타오르네 무덤으로

내일은 무엇이 있나 금박의 도시여

 


'한국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3.27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3.24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3.22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3.21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