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漢字)

九牛一毛(구우일모)

임기종 2023. 3. 18. 06:58
728x90

九牛一毛(구우일모)

:아홉 구, :소 우, :한 일, :털 모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털이라는 뜻

많은 것 중에 가장 적은 것의 비유.

 

비슷한 말로 滄海一粟(창해일속), 滄海一滴(창해일적), 大海一滴(대해일적)이 있다.

漢書(한서)報任安書(보임안서) 文選(문선)司馬遷 報任少卿書(사마천 보임소경서)에 나오는 말이다.

 

()나라 7대 황제인 武帝(무제:B.C. 14187) (B.C. 99) 5000의 보병을 이끌고 흉노를 정벌하러 나갔던 이릉 장군은 열 배가 넘는 적의 기병을 맞아 초전 10여 일간은 잘 싸웠으나 결국 衆寡不敵(중과부적)으로 패하고 말았다. 그런데 이듬해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亂戰(난전)중에 전사한 줄 알았던 이릉이 흉노에게 투항하여 후대를 받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안 무제는 크게 노하여 이릉의 一族(일족)을 참형에 처하라고 엄명했다. 그러나 중신을 비롯한 이릉의 동료들은 침묵 속에 무제의 안색만 살필 뿐 누구 하나 이릉을 위해 변호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이를 분개한 司馬遷(사마천:B.C. 135?93?)이 그를 변호하고 나섰다. 사마천은 지난날 흉노에게 경외의 대상이었던 이광 장군의 손자인 이릉을 평소부터 목숨을 내던져서라도 국난에 임할 용장이라고 굳게 믿어 왔기 때문이다. 그는 史家(사가)로서의 냉철한 눈으로 사태의 진상을 통찰하고 대담하게 무제에게 아뢰었다.

황공하오나 이릉은 소수의 보병으로 오랑캐의 수만 기병과 싸워 그 괴수를 경악케 하였으나 원군은 오지 않고 아군 속에 배반자까지 나오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패전한 것으로 생각되옵니다. 하오나 끝까지 병졸들과 고통을 같이한 이릉은 인간으로서 극한의 역량을 발휘한 명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옵니다. 그가 흉노에게 투항한 것도 필시 훗날 皇恩(황은:황제의 은혜)에 보답할 기회를 얻기 위한 苦肉策(고육책)으로 사료되오니, 차제에 폐하께서 이릉의 무공을 천하에 공표하시오소서.”

무제는 진노하여 사마천을 투옥한 후 宮刑(궁형)에 처했다. 세상 사람들은 이 일을 가리켜 이릉의 화(李陵之禍)’라 일컫고 있다. 사마천은 이를 친구인 任安(임안)에게 알리는 글(報任安書)’에서 최하급의 치욕이라고 적고, 이어 착잡한 심정을 이렇게 쓰고 있다.

내가 법에 따라 사형을 받는다고 해도 그것은 한낱 아홉 마리의 소 중에서 터럭 하나 없어지는 것과 같을 뿐이니 나와 같은 존재는 땅강아지나 개미 같은 미물과 무엇이 다르겠나? 그리고 세상 사람들 또한 내가 죽는다 해도 절개를 위해 죽는다고 생각하기는커녕 나쁜 말하다가 큰 죄를 지어서 어리석게 죽었다고 여길 것이네.”

사마천이 수모를 당하면서까지 살아가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당시 사마천은 太史令(태사령)으로 봉직했던 아버지 司馬談(사마담)이 임종시(B.C. 122) 通史(통사)를 기록하라고 한 유언에 따라 史記(사기)을 집필 중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사기를 완성하기 전에는 죽을래야 죽을 수도 없는 몸이었다. 그로부터 2년 후에 중국 최초의 史書(사서)로서 불후의 명저로 꼽히는 사기 130여권이 완성(B.C. 97)되어 오늘에 전해지고 있다.

 

아무리 유능해도 독불장군 없으니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할 수 있다면

그것도 능력이리라 부족함을 가리니.

 

'한자(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맹무상(群盲撫象)  (1) 2023.03.25
國士無雙(국사무쌍)  (0) 2023.03.21
口蜜腹劍(구밀복검)  (1) 2023.03.15
膠漆之心(교칠지심)  (1) 2023.03.13
교주고슬(膠柱鼓瑟)  (0)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