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임기종 2017. 2. 15. 07:55
728x90




가구의 힘 박형준

 

얼마 전에 졸부가 된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나의 외삼촌이다.

나는 그 집에 여러 번 초대받았지만

그때마다 이유를 만들어 한번도 가지 않았다.

어머니는 방마다 사각 브라운관 TV들이 한 대씩 놓여있는 것이

여간 부러운 게 아닌지 다녀오신 얘기를 하며

시장에서 사온 고구마 순을 뚝뚝 끊어 벗겨내실 때마다

무능한 나의 살갗도 아팠지만

나는 그 집이 뭐 여관인가

빈방에도 TV가 있게 하고 한 마디 해주었다.

책장에 세계문학전집이나 한국문학대계라든가

니체와 왕비열전이 함께 금박에 눌려 숨도 쉬지 못할 그 집을 생각하며

나는 비좁은 집의 방문을 닫으며 돌아섰다.

 

가구란 그런 것이 아니지

서랍을 열 때마다 몹쓸 기억이나 좋았던 시절들이

하얀 벌레가 기어 나오는 오래된 책처럼 펼칠 때마다

항상 떠올라야 하거든

나는 여러 번 이사를 갔었지만

그때마다 장롱에 생채기가 새로 하나씩은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그 집의 기억을 그 생채기가 끌고 왔던 것이다.

새로 산 가구는

사랑하는 사람의 눈빛이 달라졌다는 것만 봐도

금방 초라해지는 여자처럼 사람의 손길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먼지 가득 뒤집어쓴 다리 부러진 가구가

고물이 된 금성라디오를 잘못 틀었다가

우연히 맑은 소리를 만났을 때만큼이나

상심한 가슴을 덥힐 때가 있는 법이다.

가구란 추억의 힘이기 때문이다.

세월에 닦여 그 집에 길들기 때문이다.

전통이란 것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것 …….

하고 졸부의 집에서 출발한 생각이 여기에서 막혔을 때

어머니가 밥 먹고 자야지 하는 음성이 좀 누그러져 들려왔다.

너무 조용해서 상심한 나머지 내가 잠든 걸로 오해 하셨나.

 

나는 갑자기 억지로라도 생각을 막바지로 몰고 싶어져서

어머니의 오해를 따뜻한 이해로 받아들이며

깨우러 올 때까지 서글픈 가구론을 펼쳤다.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작>(1991)-

-----------------------------------------------------



억새꽃 강규인

 

얼마를 참고 살면 밝은 웃음 지니시고

무엇을 버려야 가볍게 흔들리시며

누구의 사랑을 받아야 그렇게 맑아지나요

 

누굴 위해 살아야 서럽지 않으시고

어떻게 사랑해야 진실할 수 있으며

그토록 아름다운 소리는 노래인지요 숨결인가요

 


'한국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2.20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2.16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2.14
한국 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2.13
한국현대시와 시조 1수  (0) 201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