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말의 어원 9

임기종 2015. 12. 21. 07:34
728x90

결혼하다, 혼인하다

오늘날 `결혼하다``혼인하다`는 동일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marriage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는 `결혼하다``혼인하다`는 다른 뜻이었다. `혼인하다`는 오늘날 쓰이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였지만, `결혼하다`는 다른 뜻이다. `철수가 복동이와 결혼했다`란 말을 쓸 수 있었다. 이 문장의 의미는 `철수`의 자손과 `복동`의 자손이 `혼인`할 것을 결정했다는 뜻이었다. 따라서 남자와 남자, 그리고 여자와 여자끼리 결혼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일본어에서는 `결혼하다`가 오늘날 남녀 혼인의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 국어에 들어 온 것이다. 그래서 예식장에 `결혼예식장``혼인예식장`이란 명칭이 다 보인다.

`혼인하다`란 뜻은 ```신부집`을 말하고 ```은 신랑집을 말한 데에 기인한다. 옛날에 혼인을 할 때에는 신랑이 `` 즉 신부집으로 먼저 가서 예식을 올린다. `장가`(장인의 집)를 간다. 그리고 사흘 뒤에 신부를 데리고 ``(즉 신랑집)으로 온다. 즉 신부는 `시집`을 간다. 그래서 `장가가고 시집간다`는 말이 나온 것이다.

출처 : 우리말 어원

 

()을 치다

`호된 꾸지람이나 나무람을 듣거나 벌을 받다`는 뜻이다. 옛날에 밤 시간을 알리는 한 방법으로 경()에는 북을 치고 점()에는 꽹과리를 쳐서 시간을 알렸다. 경은 하룻밤을 초경, 이경, 삼경, 사경, 오경의 다섯으로 나누었다. 삼경은 지금으로 치면 밤 12시 전후이고, 이 때에는 북을 28번 치는데 이것을 인정(人定)이라 하며, 인정이 되면 도성의 사대문을 걸어 잠그고 일반인의 통행을 금지시켰다.

수상한 사람이 인정 이후에 돌아다니다 순라군에게 잡히면 순포막으로 끌려가서 여러 가지 심문을 받은 후 죄가 없으면 오경(五更) 파루(罷漏) 친 뒤에 풀려났다. 이런 사실에서 인정 이후 순포막에 끌려갔다가 파루 친 뒤까지 순포막에서 경을 치르고 나왔다는 데서 `경을 치다`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출처 : 우리말 유래사전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의 어원 12  (0) 2015.12.24
우리말의 어원 11  (0) 2015.12.23
우리말의 어원 8  (0) 2015.12.18
우리말의 어원 7  (0) 2015.12.17
우리말의 어원 6  (0) 2015.12.16